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18.217.122.248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라이트 모드로 전환
로그인
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.
여기를 눌러 알림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[공지]
openNAMU 계정 이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.
서울 지하철 7호선 6호선 전동차 돌려막기 논란
(편집 요청)
토론
ACL
알림
현재 진행 중인
사용자 토론
이 있습니다.
[오류!]
RAW 편집
미리보기
[[분류:서울도시철도]][[분류:사건사고]][[분류:KBS]][[분류:알파위키 철도 프로젝트]][[분류:서울 지하철 7호선]] ||<-4><tablealign=right><tablebgcolor=#fff,#18181d><tablewidth=360px> {{{#!wiki style="margin: -10px -10px" ||<tablealign=center><tablebordercolor=#fff,#18181d><tablebgcolor=#fff,#18181d> [[파일:Seoulmetro7_icon.svg|width=50]]||{{{#747f00 '''서울 지하철 {{{+1 7호선}}}'''[br]6호선 전동차 돌려막기 논란}}} || }}} || ||<-4> {{{#!wiki style="margin: -6px -10px -15px" [[파일:6호선 돌려막기.jpg|width=100%]]}}} {{{#747f00 서울 지하철 7호선 6호선 전동차 돌려막기 당시 기사}}} || ||<-4><bgcolor=#747f00> {{{#white '''노선 정보'''}}} || ||<width=25%> '''사고 발생일''' ||<-3> 2013년 11월 17일 || || '''보도국''' ||<-3> [[KBS]] || || '''사고 편성''' ||<-3> 603편성, 605[* 보도 차량 기준] || || '''원인''' ||<-3> 로윈에서 생산된 SR차량 불량 || || '''현재 상황''' ||<-3> 종결 || ||<|3> '''피해자''' ||<-3> 사상자: 0명[*사건 돌려막기 사건으로 인한 피해자가 없음.] || ||<-3> 부상자: 0명[*사건 ] || ||<-3> 총합 : 0명 || ||<|2> '''운영자''' ||<-3> [[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|[[파일:5678서울도시철도 CI.svg|width=240px]]]] || ||<-3> [[인천교통공사|[[파일:인천교통공사 CI.svg|width=240px]]]] || ||<-4><bgcolor=#747f00> {{{#white '''노선 상세'''}}} || || '''궤간''' ||<-3> 1,435mm || || '''선로구성''' ||<-3> [[복선]] || || '''사용전류''' ||<-3> 직류 1,500V [[가공전차선]] || || '''신호방식''' ||<-3> [[웨스팅하우스|US&S]] [[열차자동제어장치|ATC]]/[[열차자동운전장치|ATO]] || || '''최고속도''' ||<-3> 80㎞/h || || '''표정속도''' ||<-3> 33.3㎞/h || || '''사고 구간''' ||<-3> 7호선 장암~부평구청 구간[* 당시에는 인천 부평구청역까지 연장되었을때이다.] || || '''통행방향''' ||<-3> 우측통행 || [목차] [clearfix] == 개요 == ||<table bgcolor=#fff,#1f2023><table bordercolor=#008d48> {{{#!wiki style="margin: -5px -10px" [youtube(Arx0QWM39VU)]}}} || ||<bgcolor=#004bb8><color=#fff> '''문제를 제기한 기사'''[* 이게 완전히 엉터리 기사인데, 그래서 철알못 KBS란 말이 생기기도 했었다. 자세한 내용은 후술함.] || > 7호선이든 6호선이든 다 같은 전동차 아니냐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만 '''이게 그렇게 간단한 문제가 아니라고 합니다.''' > ---- > 기사의 일부분 [[2013년]] [[11월]] [[17일]] 발생한 사건이다. == 전개 == === 로윈의 불량 차량 납품과 [[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|서도철]]의 대금 납부 === 로윈이 부평구청역 연장을 앞두고 SR차량을 납부하였다. 그리고 개통 후 굴러다니다가 결함이 발견되었는데 그로 인해 SR 3량이 빠지게 되고, 그 사이에 [[서울도시철도]]는 80%를 납부하였단 것이 밝혀졌다. 로윈과 [[서울도시철도]]는 즉시 원인을 조사하기 시작하였으며, 서울도시철도는 머리를 굴리기 시작하는데... === 저조한 수요의 [[서울 지하철 6호선]] 전동차 추출 === [[서울 지하철 6호선]]은 예나 지금이나 수요가 저조하여 차량이 남아돌았다. 그래서 [[서울도시철도]]는 그 차량을 도입시키기로 하고, 바로 신호체게 변경 후 시운전을 짧게 거쳤다. 그러나... === 철알못 [[KBS]]의 공론화와 [[서울도시철도]]의 해명 === [[KBS]]에서 아찔한 돌려막기라며 기사를 냈는데, 서울도시철도는 대충 다음과 같이 해명했다. > 6호선 전동차를 7호선에 투입하였으나 사고 염려등은 없다 하지만 국민들, 그 중에서도 철도 동호인들은 다음과 같은 발언을 하며 KBS를 비난했다. > 그딴식으로 따지면 경의중앙선이랑 수인분당선은 박살나야되는거노? > 5,6,7,8호선 다 같은 차다 좀 알고 말하자 > KBS 특)지하철만 보면 발광함 === 사태의 빠른 종결 === 그렇게 매우 많은 철도 동호인들이 KBS를 맹렬히 비난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KBS가 KBS 했네 라며 넘어갔다. 그렇게 매우 빨리 종결되었다. == KBS의 허점 == [include(틀:집단연구)] 여기서 KBS는 한가지 놓친점이 있었는데, 바로 차량이다. 5,6,7,8호선 1,2차분 모두 현대정공산 차량을 사용중이며, GTO나 IGBT를 사용하였다. 신호 시스템은 거의 비슷하며 그로 인해 [[서울 지하철 8호선]] 개통 초기에 [[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VVVF 전동차]]의 1차분이 투입되었었다. 그리고 무엇보다, 같은 차량이면 신호 시스템만 같게하면 운행이 가능한데 그 대표적 예시가 [[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]]과 [[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]]이다. KBS의 논리대로라면 이 노선들은 모두 아찔한 돌려막기이다. KBS는 과거 동일한 행적을 보였는데 대표적으론 1호선 신저항 차량 교체 안해 사고[* 눈길에 미끄러진거다.]가 났다거나, 4호선 차량이 1호선에 운행한다며 난리를 핀 적도 있다.
im preview
요약
문서에 기여한 것을
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
으로 배포하고, 저작자 표시를 문서 역사란에 표기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합니다.
이 동의를 철회하지 않겠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3.128.199.62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18.217.122.248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닫기
사용자 문서
문서 기여 내역
토론 기여 내역
(없음)
×
설정
위키
토론
스킨
테마
자동 (시스템 설정)
라이트
다크
각주 표시 형식
브라우저 기본
팝오버
팝업
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
사용
내비게이션 바 고정
사용
사이드바 설정
기본
숨김
하단 표시
사용자 사이드바 끄기
사용